
Background Engagement를 수정한다는 것에 대해 잠깐씩 언급을 했었는데, 이번 포스팅에서는 진짜로 바뀌는 경우들을 알아보고자 한다. 계약이 바뀌는 경우는 더 높은 확신 수준으로 바뀌는 케이스와 더 낮은 확신 수준 (혹은 확신이 없는 수준)으로 바뀌는 케이스 두가지로 나뉘어서 볼 수 있겠다. 그렇다면 왜 바뀌는 걸까? 1) 클라이언트가 계약한 서비스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고 있을때. (Client had a misunderstanding regarding on the services rendered) 2) 클라이언트들의 채권자가 더이상 요구하지 않을때. (Creditors no longer require audited F/S) 그렇다면 바뀌지 못하는 케이스도 존재할까? 네. 언제? 1) 클라이..

Background Preparation의 경우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본인(회계사)이 F/S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, "독립성(Independence) 요구 ✘" "Assurance ✘" "📝보고서 발행 ✘" → Compilation 과 다른 부분 더불어 Preparation의 경우 비상장회사가 특정한 부분에 대해서 검토를 받기 원하는 서비스이다. (예시 : 소규모 회사가 크레딧 증명을 위해 은행에 제출하는 용도, 더 쉽게 설명하자면... 틴더에 자기 얼굴 증명하는 그런 느낌이랄까.. ) Review 보고서와 차이점?? ✔️ Review 에서는 독립성 요구 ✔️ Review 에서는 (Negative or Limited) Assurance Procedures Understanding → Obtaining →..

Compilation 보고서는 "비상장" 회사에 대하여 F/S를 대리로 만들어주는 업무를 말한다. Background 컴필레이션의 경우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본인이 만들어 주는 것으로, "독립성(Independence) 요구 ✘" "Assurance ✘" 하지만, Compilations은 여타 다른 서비스와 같이 📝보고서가 발행이 되어야하는 업무이다. Review 보고서와 차이점?? ✔️ Review 에서는 독립성 요구 ✔️ Review 에서는 (Negative or Limited) Assurance Procedures Understanding → Obtaining → Reading → (Representation Letter) 1. Understanding : Review 와 마찬가지로, 건을 수임하는..